해양수산부와 부산항만공사(BPA)가 ‘항만 무탄소화 전환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부산항에 국내 최초로 국산 전기 야드트랙터(Y/T)를 도입한다. 기존의 경유 또는 LNG 동력 야드트랙터를 국산 무탄소 장비로 전환하는 비용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해양수산부와 BPA는 올해 7월부터 약 2개월간 부산항 신항 4부두에서 국산 전기 야드트랙터 시험운행을 진행하고 있다. 장비 성능과 내구성, 배터리 안전성, 충전 편의성 등을 현장에서 검증하고 운전원과 운영사 의견을 반영해 품질 개선 및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할 계획이다.
아울러 해수부와 BPA는 오는 9월12일 부산신항 4부두에서 부두 운영사와 관계사를 대상으로 ‘항만 무탄소화 전환 지원사업’ 간담회를 개최한다. 그간의 국산 전기 야드트랙터 테스트 성과를 공유하고, 장비 성능을 현장에서 시연할 예정이다. 양 기관은 국산 전기 야드트랙터의 성능, 내구성, 배터리 안전성, 충전 편의성 등의 기능을 집중 검증한다.
보조금 사업은 기존 경유·LNG 야드트랙터를 국산 전기 장비로 전환하는 터미널 운영사에 장비 전환 비용의 절반(국비 25%, BPA 25%)을 지원한다. 사업자 공모는 9월19일부터 시작되며, 선정된 운영사는 실시협약 체결 후 보조금 지원을 받아 장비 전환에 나선다.
전기 야드트랙터는 경유 장비 대비 온실가스 직접 배출량을 100% 줄이는 효과가 있어 슬롯 커뮤니티 친환경 전환에 기여할 전망이다.
전재수 해수부 장관은 “강화되는 환경 규제 속에서 항만의 탄소배출 감축을 위해 하역장비의 친환경 전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번 사업이 친환경 항만으로 전환을 촉진하는 마중물이 되고, 국내 항만장비 산업 성장에도 기여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BPA 송상근 사장은 “이번 시험운행으로 국내 전기 야드트랙터의 현장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많은 운영사들이 보조금 사업에 참여해 항만 하역장비의 무탄소 전환이 가속화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박한솔 기자 hsolpark@ksg.co.kr >
0/250
확인